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또한, 회전 중에 그 힘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여, 정통적인, 부드러운 느낌의 스키가 된다. |
![]() |
OGASAKA의 독자적인 설계 이론을 살려, 샌드위치 구조를 기본으로, 표면과 양 측면을 sheet으로 감싸 성형한 구조. 보다 가볍게, 보다 세련된 반발 양상을 만들어낼 수 있다. |
![]() |
![]() 스키를 눌러 휘게하는 힘이 급격하게 반발로 이어지지 않도록, 부드럽게 해방될 수 있도록 하여, 스키의 움직임에 끼칠 수 있는 악영향을 억제한다. 또한, 불쾌한 느낌의 진동을 흡수하고, 스키의 휘어짐이 급격히 복원되는 것을 막는다. 또한, 포지션을 높여 회전을 보다 용이하게 하며, 스키 중심부의 강성을 보완한다는 의미도 있다. |
![]() |
![]() 이와 같은 특성으로 인하여, 보다 높은 조작성과 용이함, 고성능이 필요한 UNITY-EX, UNITY-FB, KOBU-KING, SA-M, SA-N, SA-N/B, YOIDON, JUNIOR-1·2·3 등의 기종에 사용하고 있다. |
활주면의 스트럭쳐 |
![]() 트리형상의 스트럭쳐를 전면에 넣은 타입. 기술계부터 레이싱까지 보다 폭넓은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. 설질 역시, 베이스 에지 1도의 베벌링에 대응하여 다목적 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. 활주 성이 매우 우수하다. |
![]() 센터의 폭으로, 선단부부터 후미부까지 균일하게 트리 스트럭쳐 설정한 타입. 베이스 에지의 베벌링 각을 보다 줄이는 것이 가능하여, 높은 활주성에 더하여, 회전의 변경 시, 보다 빠른 설면 파악이 가능해진다. |
![]() 트리를 2열로 배치하고 있어, 활주성은 물론 용이한 조작성을 추구하는 타입. 종방향 뿐만 아니라, 횡방향으로의 조작도 쉬운, 기술계의 스키를 지향하는 활주면 스트럭쳐. |
캡
- OGASAKA ski Construction - 구조의 이해 2007.10.06
OGASAKA ski Construction - 구조의 이해
2007. 10. 6. 12:23